매화나무라고도 한다.
꽃을 매화라고 하며 열매를 매실(梅實)이라고 한다. 높이 5∼10m이다.
나무껍질은 노란빛을 띤 흰색, 초록빛을 띤 흰색, 붉은색 등이다. 작은가지는 잔털이 나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4∼10cm이다.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나며 잎자루에 선(腺)이 있다.
중부지방에서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붉은색을 띤 흰빛이며 향기가 난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둥근 모양이고 꽃잎은 여러 장이며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많고 씨방에는 빽빽한 털이 난다. 열매는 공 모양의 핵과로 녹색이다.
7월에 노란색으로 익고 지름 2∼3cm이며 털이 빽빽이 나고 신맛이 강하며 과육(果肉)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매화(for. alba), 꽃잎이 많은 종류 가운데 흰 꽃이 피는 것을 만첩흰매화(for. albaplena),
붉은 꽃이 피는 것을 만첩홍매화 (for. alphandii)라고 한다.
5∼6월에 덜 익은 열매를 따서 약 40℃의 불에 쬐어 과육이 노란빛을 띤 갈색(60% 건조)이 되었을 때 햇빛에 말리면 검게 변한다.
이를 오매(烏梅)라 하며 한방에서는 수렴(收斂)·지사(止瀉)·진해·구충의 효능이 있어 설사·이질·해수·인후종통(咽喉腫痛)·요혈(尿血)·혈변(血便)·회충복통·구충증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뿌리는 매근(梅根), 가지는 매지, 잎은 매엽, 씨는 매인(梅仁)이라 하여 역시 약용한다.
덜 익은 열매를 소주에 담가 매실주를 만들고 매실로 매실정과(梅實正果)·과자 등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 또는 과수로 심는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매화의 고자(古字)는 ‘某’인데 ‘梅’의 본자이다.
강희안(姜希顔)은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9등품론에서 1품으로 분류하였다.
만물이 추위에 떨고 있을 때, 꽃을 피워 봄을 가장 먼저 알려주므로서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삼았고,
늙은 몸에서 정력이 되살아나는 회춘(回春)을 상징하였다.
또한 사랑을 상징하는 꽃 중에서 으뜸이며 시나 그림의 소재로도 많이 등장한다. 꽃말은 ‘고격·기품’이다.
원예학적으로 분류해보면....
꽃의 관상을 목적으로하는 화매(300여종)와
열매 채취를 목적으로 하는 실매(100여종)로 나누어진다.
화매는 3계 9성으로 이루어진다.
1. 야매계...
야매(野梅)에서 변화된 원종에 가까운 매
중국에서 도래했고 매의 자손이라 말해진다.
가지는 가늘고 꽃과 잎은 비교적 작고 좋은 향기가 있다.
1) 야매성:
원종에 가깝고 가지는 가늘고 가시모양의 작은 가지가 많다.
신초는 녹색으로 햇볕을 받으면 붉게된다.
잎은 비교적 작고 털이 없다.
꽃은 흰색 혹은 담홍색이 많다. 향기는 많고 열매는 둥글다.
2) 난파성:
가지는 가늘고 무성하나 왜소하게 느껴진다.
가시 모양의 작은 가지가 적다.
잎은 둥근 모양으로 비교적 늦게피고 꽃은 향기가 좋다.
삽목 가능한 것이 많다.
3) 홍필성:
꽃 봉오리 끝이 붉고 뾰족하다.
4) 청축성:
가지와 꽃받침은 언제나 녹색으로 꽃 봉오리는 녹백색, 꽃은 청백색이다.
2. 비매계...
야매계에서 변화된 것으로 가지와 줄기의 안쪽이 붉다.
꽃은 붉은색(홍색), 비색의 것이 대부분이다.
꽃이 희더라도 가지 속이 붉은 것은 비매계에 들어간다.
잎은 작고 야매성에 가깝다.
정원수로 심거나 분재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1) 홍매성:
화색이 밝고 홍색을 띄고 있고 극히 적지만 백화도 포함된다.
신초는 햇볕을 받아도 비매성 만큼 짙게 변하지 않고 푸른기가 남아있다.
2) 비매성:
화색이 짙은 홍색으로 비색을 띄고 있다.
신초는 햇볕을 받으면 흑갈색으로 된다.
대부분은 수세가 약하다.
3) 당매성:
화색은 피기 시작할때는 도색-홍색인데 다 피었을 때는 흰색을 띄게된다.
꽃은 아래쪽으로 향하며 향이나 화병이 긴것이 주류를 이룬다.
3. 풍후계...
매화와 살구의 잡종으로 잎이 크고 성장이 좋은 것이 많다.
살구에 가까운 꽃은 도색(桃色)의 것이 많다.
1) 풍후성:
살구와의 잡종성이 강한 매화로 가지는 약간 굵고 수세가 강하다.
잎은 둥글고 크며 표면에 털이 있다.
꽃은 대륜으로 담홍색의 것이 많고 늦게 핀다.
2) 행성:
풍후성 보다 가지가 가늘고 잎이 작다.
신초가 가늘고 햇빛을 받으면 회갈색이 된다.
잎은 작고 표면에 털도 없으며 꽃은 늦게 피는 것이 많고 향은 적다.
꽃의 빛깔에 따라
꽃잎과 꽃받침의 빛깔에 따라 백매·녹매·흑매·홍매로 나뉜다.
꽃잎과 꽃받침이 희면 백매, 꽃잎이 희더라도 꽃받침이 녹색이면 녹매라 한다.
분홍을 포함해 꽃잎이 붉은 빛깔을 띠면 홍매로 분류하고, 홍매가 진해 검은 빛을 내면 흑매라고 한다.
특히 꽃 수술은 노란 것과 붉은 것으로 나뉘는데, 꽃 수술과 꽃잎 빛깔의 조화가 아름다움을 결정한다.
꽃 모양과 향기에 따라
다섯장의 꽃잎이 한겹으로 돋아 있으면 홑꽃, 이중 이상이면 겹꽃이라고 한다.
홑꽃보다는 겹꽃이 화사한 느낌을 준다.
향기도 꽃잎이 작은 홑꽃의 경우 은은하고, 겹꽃은 다소 짙은 경향이 있다.
'분재 곁 세상 엿보기 > 자연에서 배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자나무 (0) | 2018.04.06 |
---|---|
단풍나무의 종류... (0) | 2016.09.29 |
동백과 돌판 (0) | 2016.02.15 |
농약에 대하여... (0) | 2015.11.05 |
문인목 그림 사진 모음 (0) | 201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