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원주택 & 생활의 지혜/대금5

외팔로 부는 대금(이삼스님) 외팔로 부는 대금, 세상은 행복했다. 복사골문화센터 이삼스님 초청 풍류음악회 열다. ▲ 복사공문화센터 아트홀 초청 풍류음악회에서 정악 대금 연주를 하는 이삼스님 1 ⓒ 김영조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불리는 대금은 두 팔로도 연주하기가 쉽지 않은 악기이다. 외팔로 부는 대금, 상상할 수 있을.. 2007. 8. 11.
대금 익히기 1. 운지법 동양의 음악은 5음 음계로 된 것이 많다고 한다. 우리 음악 역시 5음 음계로 되어 있는데 , 이는 12개의 음들 중에서 곡에 따라 5개의 음을 뽑아서 음계를 조직한다는 말로 이것을 선법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 음악에 쓰이는 선법은 크게 평조와 계면조로 나눌 수가 있으며 각각의 음조직은 다.. 2006. 10. 17.
청이란? 1. 청이란? 청이라함은 갈대 속에 붙어있는 얇은 막(膜)을 뽑아내어 이것을 대금의 취구와 지공 사이에 있는 청공에다 붙여 소리를 더욱 맑고 청아하게 하는 떨림판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청은 대금 소리를 더욱 신비하고도 생명력 있는 소리로 만들어 내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청이 언제부터 대금.. 2006. 10. 17.
대금 만들기 대금의 재료인 쌍골죽은 일종의 병죽으로써,대의 아랫마디에서부터 골이 패인 대나무이다. 좋은 쌍골죽:4.5년 이상 오래묵어 나무가 단단하며, 악기를 만들었을 경우,취구,천공, 지공등의 위치가 마디에 걸리지 않으며(그러나, 마디걸림보다 중요한 것은 취구이므로 취구를 포기 하며까지 지공이 마디.. 2006. 9. 29.
대금에 대하여 ◈ 대금의 유래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삼현(가야금, 거문고, 향비파)과 삼죽(대금, 중금, 소금)의 하나로 젓대 또는 저라고 불리며 역사적인 유래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악지,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등에 여러 가지 기록들이 전하는데 삼국유사 권2 만파식적(萬波息笛)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 2006.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