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원주택 & 생활의 지혜/목조 주택

목조주택에 대하여

by oldmonk 2006. 9. 25.

목조주택이란?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목재가 많이 보이면 목조주택이라고 생각하고 그렇지 않으면 목조주택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목조주택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주택의 주요 구조부가 목재인 주택을 목조주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주택의 주요 구조부란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거나 다른 구조부재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 주택의 경우에는 기둥, 보, 서까래, 장선, 스터드 등의 부재가 주요 구조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목조주택은 외부에서 보이는 목재의 유무와는 상관이 없으며 내부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가 목재인 경우에만 목조주택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국내의 휴양림이나 국립공원 등에 구조부는 콘크리트로 하고 외부에만 통나무 반쪽을 붙여놓은 주택을 통나무 주택이라고 소개하는데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목조주택이라고 할 수 없으며 겉모양만 통나무주택을 본뜬 콘크리트 주택인 것이다.

일반 주택 중에서도 외장재만 목조주택용 외장재를 사용한 주택이 가끔 건축되고 있으며 이를 목조주택이라고 선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주택은 진짜 목조주택이라고 할 수 없으며 구조재가 목재로 건축된 경우에만 목조주택이라고 이름을 붙일 수 있다.
목조주택의 특징입니다.
 

■ 목조주택은 안전하다.
---------------------------------------------------------------------------------------

목재는 단위 중량당 인장강도나 압축강도가 철이나 콘크리트를 능가한다.
목조주택은 건물전체가 가벼운 하중과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자체의 유연성을 지님으로써 진동에 대한 저향력이 우수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 또한 뛰어나다. 이는 미국이나 94년 일본 고베지진에서 경량목조주택이 콘크리트 주택이나 조적조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진피해발생율이 낮았다는 조사결과로 증명되었다.

■ 목조주택은 내구성이 뛰어나다.
--------------------------------------------------------------------------------------

일반 주택의 내구성이 30년 정도인데 비해, 목조주택의 내구성은 70년 내외로써 충실히 관리할 경우 수백년까지도 유지가 가능하다. 우리의 경우 600년 이상 된 목조건물을 흔히 볼수 있으며, 고려중기에 건축되어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이 아직도 우아한 자태를 유지하는 것이 이를 증명하는 것이다.


■ 목주주택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
---------------------------------------------------------------------------------------
목재의 단열성능은 콘크리트의 4배, 벽돌의 6배, 석재의 15배로써 그 자체로 단열 및 보온성이 뛰어난 건축재이다. 목조주택은 자체의 단열성이 우수하고 구조재료 사이의 중공 부분은 단열재로 쉽게 시공되며, 개구부 주변과 부재의 접합부위는 밀폐성이 뛰어난 높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에너지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 목조주택은 쾌적한 실내를 유지해준다.
---------------------------------------------------------------------------------------
목재는 자동으로 습도조절능력을 지니고 있다. 목조주택에선 일정한 최적습도를 유지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체를 건강하게 유지해 주고 쾌적한 생활공간을 보장해 준다.


■ 목조주택은 유지관리비가 적게든다.
----------------------------------------------------------------------------------------
목조주택은 3~5년에 한번씩 외부에 도장만 잘해주면 특별한 수리가 필요치 않아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보일러, 배관, 전기시설 등의 수명은 일반주택과 동일하다.


■ 목조주택은 보수하기가 쉽다.
---------------------------------------------------------------------------------------
목조주택은 문제가 생겼을 때 쉽게 수리가 가능하다. 각부에 사용되는 자재는 수명기간 내에 해당부분만 해체하고 교체하면 완전하게 원상으로 복구할 수 있다.

■ 목조주택은 화재위험성이 높지 않다.
---------------------------------------------------------------------------------------
사람들은 나무가 불에 타는 것을 알기 때문에 불을 피울 때 나무를 사용한다. 그래서 목조주택은 화재에 안전하지 못하다는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시에 안전성 문제는 구조가 불에 타느냐 타지 않느냐 하는 문제보다 인명피해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목조주택은 화재발생시 연소도 및 화재 확산도가 낮아 생존확률이 높다. 목재의 단열성능은 철보다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구조성능약화가 철구조보다 늦다. 뉴욕의 911테러로 철구조건물인 월드트레이드센터가 열에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는 장면을 목격했을 것이다.

목조주택과 인간 생활
 



■ 목조주택은 육체건강에 좋다.
---------------------------------------------------------------------------------------
목재는 태양과 흙과 물과 공기가 만들어낸 천연소재로써 시멘트나 화학소재처럼 독소를 뿜어내는 재료와는 달리 살아 숨쉬는 유기질 재료이다.
목재는 천연유기질소개로 살아있는 생명체인 사람과 동일한 생체리듬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신체의 리듬을 찾게 되고 생활의 활력을 되찾게 되는 것이다.


■ 목조주택은 정신 건강에 좋다.
---------------------------------------------------------------------------------------
사람도 자연의 한 부분이므로 아름답고 깨끗한 자연경관, 자연의 비, 바람, 새, 곤충 등의 소리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목조주택은 자연의 일부로서 사람이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 갈 수 있는 지혜의 산물이다. 목조주택은 그 자체나 주변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발생이 타 건축에 비하여 매우 적다.

■ 목조주택은 인간에게 친근감을 느끼게한다.
---------------------------------------------------------------------------------------
목재는 우리의 신체에서 시각, 청각, 후각 및 촉각 등의 감각기관들을 통하여 전해주는 느낌이 좋다. 목조주택에 들어서면 마음이 평안해지고 긴장이 풀어지며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되어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느끼게 한다.


■ 목조주택은 아름답다.
---------------------------------------------------------------------------------------
목재의 무늬결은 만들어낸 최고의 걸작으로써 서로 같은 무늬가 없고 무늬들이 비슷하면서도 색상이나 모양이 다르다. 자연스러운 곡선, 다양한 무늬, 따스한 색상, 부드러운 촉감 등이 조화되어 완벽한 아름다움을 연출해 주기 때문에 인테리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 목조주택은 사고에 안전하다.
---------------------------------------------------------------------------------------
목조주택은 주택 내에서 사고가 났을 때 상처발생이 최소화되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렇다할 상처를 입지 않는다.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주택 내에도 많은 위험요소들이 존재한다. 성장기의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고 싶어하기 때문에 집안에서 뛰어다니다가 벽이나 구조부의 모서리 등에 부딪히면 상처를 입게 된다.


■ 목조주택은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는 건축공법이다.
---------------------------------------------------------------------------------------
목재는 제조 공정상 공해배출용인이 거의 없다.목재는 자원의 채취, 가공, 사용, 재활용, 폐기의 전 수명기간을 통하여 환경에 미치는 부담을 최소화하는 유일한 재료다. 목재는 재생산이 가능해 지하에 매장된 다른 천연자원들을 사용했을 때 보다 환경파괴가 적다.
목재사용은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기 때문에 대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목재는 적은 에너지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며, 폐기할 때 쉽게 썩고, 태워 버릴 수 있으므로 처리가 용이하고 유독성 물질의 발생이 거의 없다.
목조주택정보

개 요----------------------------------------------------------------------------------

캐나다와 미국의 거의 모든 저층 주택은 목조주택으로 시공된다.  목조주택은 영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에 소개되어 성공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연간 2백만 가구의 목조주택이 시공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캐나다는 목조주택의 시공에 대한 다년간에 걸친 충분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목조주택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포괄적인 주택 공법이다.  목조주택의 주고 부재로 사용되는 구조재와 목질판재, 공학목재 등의 목재제품은 까다로운 규격과 검사 규정에 적합한 품질의 제품을 사용한다.

목조주택은 고품질의 생활환경을 제공하며, 까다로운 성능 목표에 부합하도록 설계 시공된다.  특징을 살펴보면 :

** 설계의 유연성
** 쉽고 신속한 시공
** 구조 완전성
** 우수한 내진 및 내풍 성능
** 내구성
** 에너지 보전
** 쾌적함과 편이성



목조주택의 개념-------------------------------------------------------------------------

목조주택은 목재제품으로 연결된 부위별 구조요소가 구조요소에 작용하는 여러 종류의 하중을 분산하며 지지하는 구조이다.  이들 목재제품은 구조요소의 골조를 구성하는 구조재(소재) 또는 공학목재(재구성 목재)와, 골조에 접합하여 덮개를 이루는 침엽수 합판 또는 OSB(Oriented Strend Board)등 목질판재로 나뉜다.  모든 목재제품은 구조용으로 인증된 것을 사용한다.

건축구조기준과 시공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목조주택이라는 용어는 일명 층식 목조주택으로도 불린다.  층식 목조주택이라는 용어가 이 형탱의 주택 시공방법을 기술하는데 더 정확한 용어이다.

콘크리트 기초는 주택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기초의 형태이다.  바닥은 구조재와 덮개를 사용하여 조립되며, 기초에 고정된다.  또한 바닥은 구조재와 덮개로 구성된 벽체를 조립하는 수평의 단을 제공한다.  벽체를 조립한 후 세워서 바닥에 고정하고, 벽체의 상단을 구조재로 연결하여 1층 벽체 골조를 완성한다.

2층 주택에서는 2층 바닥을 1층 벽체의 상단에 접합하여 조립한다.  2층 바닥은 2번째의 단을 제공하고, 이 단위에서 2층 벽체를 조립 시공한다.  이 공정은 3층 주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붕은 구조재와 덮개로 조립되고 최상층의 상단과 안전하게 조립한다.  지붕은 층식 목조주택에서 마지막으로 조립하는 구조요소이다.  

콘크리트 기초에 목구조를 볼트로 고정한다.  지붕과 벽체의 덮개를 구조재에 못으로 접합한다.  바닥 덮개는 못이나 나사못으로 접합하는데, 못과 접착제를 함께 사용하여 접합하기도 한다.  구조요소는 못으로 접합하는데, 금속 접합판으로 접합하는 경우도 많다.

구조재와 덮개를 조화롭게 설치하면, 벽체와 바닥, 지붕에 강성이 부여된다.  여러 구조요소와 철물을 함께 사용하여, 하중을 분산시키고 구조요소내 별도의 통로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하중을 전달함으로써, 건축물의 갑작스러운 파괴를 막고 지진이나 강풍에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한다.

구조요소에 따라 공장에서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공장 제조방식은 현장 공사 기간이 절감되고, 고품질의 시공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지붕 구조에서 골조를 이루는 트러스는 공장에서 구조재를 트러스 접합판으로 접합하여 제조한다.

벽체도 공장에서 제조할 수 있다.  주택 시공에 사용되는 구조재와 덮개는 공장에서 프리커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주택 전체 또는 모듈로 제조되어 건축 현장까지 운송되기도 한다.

벽체는 창호 등 개구부를 포함하여 함께 시공된다.  바닥에는 계단용 개구부를 시공한다.  기계 설비용 배선과 배관, 덕트는 벽체와 바닥, 지붕의 구조요소 안에 설치된다.  벽체와 천장, 바닥 구조의 공간에 단열재를 채워 넣어,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 절감을 고려한 시공을 한다.

기와 또는 아스팔트 슁글 등 지붕 마감재를 지붕덮개위에 설치하여 빗물이 외부로 잘 흘러내리게 시공한다.  외벽은 스타코나 벽돌, 목재 외벽널, 기타 재료로 마감한다.  내벽은 일반적으로 석고보드로 마감한다.



목조주택의 장점-------------------------------------------------------------------------

계획 및 건축법 담당 공무원에게
** 시공 환경과 규정에 부합
** 고 성능 보유
** 검사가 용이
** 리노베이션과 구조개선 용이

엔지니어와 건축사, 구조 기술사에게
** 설계의 유연성
** 구조 완전성
** 성능 규정에 부합한 설계 시공
** 다양한 구조 및 마감재료

주택 시공업체(현장 시공 또는 공장 조립)에게
** 신속한 골조 시공
** 단순한 시공
** 경쟁력있는 건축비
** 현장 시공 또는 공장 조립, 또는 복합(현장 및 공장) 시공가능

주택 소유주에게
** 우수한 내구성
** 쾌적함과 편이성
** 양식과 설계의 선택 범위가 넓음
** 높은 에너지 효율



목조주택의 구조요소--------------------------------------------------------------------

구조요소의 정의

* 토대(Sill Plate) : 기초 상단에 고정하는 수평 구조 부재로, 토대 위에 바닥 장선을 앉힌다.  가압 방부처리 규격 구조재(ACQ)를 사용한다.

* 토대 고정볼트 : 기초에 토대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L형의 강철 볼트.  주요 목적은 상향력과 횡방향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콘크리트 기초에 박히는 부분을 변형시켜 콘크리트에서 빠지지 않게 한다.

* 장선(Joist) : 바닥과 천정,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일련의 수평 구조 부재.  규격 구조재나 공학목재를 사용한다.

* 보막이 장선(Rim Joist) : 장선 끝면과 직각으로 고정하는 일련의 수평 구조부재.  규격 구조재나 공학목재를 사용한다.

* 밑깔도리(Bottom Plate) : 스터드의 하단 끝면에 연결하는 수평 구조부재로, 바닥 덮개와 덮개 아래쪽에 설치된 바닥 장선에 접합한다.  규격 구조재를 사용한다.

* 장선 띠장 : 장선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장선의 하단에 접합하는 수평 가새.  작은 구조재를 사용한다.

* 보(Girder) : 바닥과 지붕 장선의 중앙을 지지하는 큰 치수의 수평 구조 부재.  규격 구조재를 접합한 조립부재나 공학목재를 사용한다.

* 바닥 덮개 : 장선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구조용 목질판재를 말한다.  목질 판재는 특정 치수의 침엽수 합판 또는 OSB가 사용된다.  

* 장선 가새 : 바닥장선 사이에 설치하는 짧은 대각선 가새로, 장선의 좌굴을 방지한다.  규격 구조재를 사용한다.

* 트러스, 지붕틀 : 지붕과 그 위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일련의 수직 구조요소.  트러스는 위 깔도리에 접합한다.  트러스는 경간을 이루는 2개의 외벽만으로 지지한다.

* 서까레(Rafter) : 지붕과 그 위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일련의 경사 구조요소.  천장 장선과 조합된 서까레는 지붕골조에서 트러스 대신 사용한다.

* 지붕 덮개 : 지붕 경사에 따라 설치하는 구조용 목질판재로, 트러스의 상단에 지붕 덮개를 접합한다.  목질판재의 길이 방향의 모서리에 금속 클립을 삽입하여 목질판재의 연결 부위를 보강한다.  목질판재는 특정 치수의 침엽수 합판 또는 OSB를 사용한다.



주요 특징------------------------------------------------------------------------------

[다기능성]
목조주택은 특징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 구조 : 벽체는 수직 하중을 기초까지 전달하고, 바람과 지진 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된다.  지붕과 바닥은 수직 하중과 수평 하중을 받아서 분산하도록 설계된다.

* 강도 : 목재 골조는 2가지 요소, 즉 하중의 분산과 복합작용에 의하여 상당한 강도와 강성을 지닌다.  하중의 분산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을 전달하는 대체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합작용은 구조재 골조에 덮개와 철물을 접합하여, 하중을 지지 분산하는 조합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 외피 : 벽체와 지붕의 강성을 부여하는 덮개용 목질판재는 건축물에서 구조요소를 감싸는 외피로서의 기능도 일부 보유한다.  외장 마감재는 덮개와 골조를 기반으로 설치된다.

* 단열과 마감 : 골조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에너지를 보전하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골조는 기밀막과 증기막, 내외장 마감재료를 설치하는 기반으로 사용된다.


[조립식공법]
목조주택이 공장 또는 현장에서 시공될 때, 여러 형태의 조립식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건축물의 증축]
경골 목조건축물은 상업용 건축물 등의 규모있는 구조요소에도 적용된다.  큰 경간의 건축물에는 서까래와 장선보다는 트러스를 사용하고, 규격 구조재보다는 공학목재를 사용하는것이 유리하다.

[융통성]
목조주택은 다양한 기상 조건, 즉 온도변화와 눈, 비, 바람, 고습, 지진, 그리고 경사지 등 어떠한 지형여건에도 적합하게 시공할 수 있다.  건축물에 다양한 내외장 마감재를 적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제품 적용성]
골조용 목재 제품은 현장에 쉽게 운송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지붕트러스 등의 구조요소는 비교적 적은 장비로 신속히 제조될 수 있다.

[목재의 작업성]
목재 제품은 가벼워서 현장에서 운반과 작업이 용이하다.  목재 제품은 잘 덮어서 외부에 보관할 수 있다.  목재는 자르고 접합하기 쉽다.

[변경 가능성]
목조주택은 쉽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다.  공사가 시작된 후 오류가 발생하거나 도면이 바뀔 때, 설계와 공사의 변경이 편리하다.  공사가 끝난 후 사용중인 건축물에서도 변경과 추가 공사가 비교적 쉽다.

[건축 공사비]
북미와 일본, 영국에서, 목조주택은 다른 건축구조에 비하여 경제적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목조주택은 콘크리트 건축물에 비하여 경쟁력이 있는 건축비로 시공할 수 있다.




건축법과 제품 규격---------------------------------------------------------------------

목조주택은 건축법과 제품 규격을 포함한 주택 시스템의 지원에 의하여 시공된다.  주택 시스템은 또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주택 당국과 연구 및 교육기관, 기술 및 전문업체 별 횝회, 제품 공급업체 등 목조주택의 설계 시공에 대한 제반 사항을 지원한다.

건설교통부는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 품질에 관련된 각종 규정을 마련하여 건축법규를 재개정한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위원회의 지원에 의하여, 제품 규격인 한국산업규격(KS)를 제 개정한다.

건축법에는 건축물에 대한 최소한의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건축구조기준 제8장 목구조 설계 등의 건축법규가 대표적인 목조 건축물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건축법에 이어, 지방조례가 지방자치단체에 의하여 규정된다.  지방조례는 국가 건축법을 준수하되, 특정 지역의 독특힌 특성과 환경을 반영하는 규정과 규제가 추가된다.

목구조 설계에 대한 국가 법규인 건축구조기준 제 8장은 목조 건축물의 구조 설계와 시공에 대한 최소한의 규정이다.  건축구조기준 제 8장은 기본적인 구조설계기준과 규범적인 법규를 규정하낟.  다음의 규정에 따라 목조주택이 설계 시공된다.:  (1)건축구조기준 제 8장에 의한 구조설계 또는 (2)설계요소가 일정범주내에 포함되는 경우 건축구조기준 제 8장 0906의 규범적인 법규.

0809은 목조주택의 설계와 시공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규정한다.  0806은 규범적인 법규로서, 기본적인 최소한의 규정을 포함한다.  건축물이 일정 범주 내에 드는 경우, 건축사나 엔지니어의 도움없이도 시공 가능하다.

0806은 거주자의 안전과 건강에 부합되도록 규정한 법규이다.  이는 목조주택에 오랫동안 살아온 경험과 북미에서 지어 온 수백만 채의 주택 시공에 근거하여 규정된 것이다.  이는 광범위한 연구와 시험결과에 근거한 것이며, 성능 규정에 따른 계산 결과에 적합한 구조요소를 가진다.

제8장에 따르면, 목조주택은 지면으로부터 지붕높이 18m, 처마높이15m이하로 하여야 한다.  연면적 3,000제곱미터 이하로 하되, 1,000제곱미터를 초과한 경우 매 1,000제곱미터 마다 방화구획을 설치하여야 한다.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는 3층이하로 한다.  스프링클러를 전 층에 설치하는 경우 4층 까지 허용하며, 4층의 경우 구조계산을 별도로 실시한다.  또한, 부재의 간격과 적재하중, 지진계수, 풍압, 내력벽의 설계애 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을 초과하는 경우 구조설계를 하여야 한다.  0806에 층고의 제한 규정이 없지만, 층고는 3.6m이라호 하는 것이 적합하다.

시공 가이드는 소방안전에 관한 건축구조기준 제8장의 규정에 따른다.  그러나 시공 가이드는 제8장의 규정에 추가하여, 최소한의 규정에 의한 것보다 우수한 성능의 주택으로 설계 시공하기 위한 추천사항을 기술한다.  또, 목조주택의 다양한 특징과 정보를 제공하며, 혹심한 기상 조건과 지진, 차음, 온돌, 흰개미 등 특수한 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제품 규격은 구조요소에 사용되기 전에 제품이 갖추어야할 특성을 규정한다.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목재제품은 KS 규격 및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고시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목재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시공 가이드의 제 4장에서 제공한다.
61.81.60.28
   단점으로는
     
습기에 약해서 꼭 건식공법으로만 시공을 해야한다는 점이다.
      만약 목조의 특성을 잘 모르는 사람이 우리나라에서 거의 주된 공법으로 자리잡은 습식 공법으로 시공을 한다면 아마
      그집은 10년 안에 다 썩어서 주저 앉게 될지 모릅니다.
      그리고 함수율이 높은 구조재를 쓰면 쓸수록 집에서 삐그덕 거리는 소리를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죠.
      현재 국내목재로 목조주택 시공이 어려운 것은 목재를 건조하는 기술이 선진국 보다 뒤떨어질 뿐더러 나무 특성상
      유연성이 적고 강도가 쎄기 때문에 시공시와 시공후에 문제점이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북미나 유럽, 캐나다 등지에서 규격에 맞는 목재를 수입해서 시공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점 건조기술이 나아지고 있고 산림청에서도 이제 국내 목재의 상품화에 귀를 귀울이기 시작했기 때문에 몇 년
      후에는 국내 목재로 만든 주택도 많은 발전이 있을 거라는 예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흰개미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 등지에는 흰개미가 목조주택안에 집을 짓고 목재를 갉아먹고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는 흰개미가 서식을 하지않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단점으로 보기가 힘들지요. 

목조주택공법

 

 

 1.경량 목구조 방식
   (Light Weight Wood Frame House)

    플랫폼 구조(Platform Framing ; 2×6공법) 

    
화재시 취약한 내화성능과 시공시 열악한 작업성능을 가진
    발룬 구조의 약점을 보완하는 하나의 새로운 구조방식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이 플랫폼(Platform Framing) 방식이다.

    현재 시공되는 경량목구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두 단계의 시공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줄기초 위에 1층의 평탄한
    바닥구조를 설치한다.
    그런 후, 평탄면은 내력벽과 비내력 간막이벽의 조립과
    설치를 위한 작업장 이 된다.
    건물이 중층일 경우,다음 층의 플랫폼은 하층부의 벽체
    위에 새로운 평탄한 바닥면을 형성하여 설치한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상층 벽체의 상부에 지붕의 서까래와 천장
    틀이 지지되게 된다.

    벽의 스터드 부재로는 외벽에 2"x6", 내벽에 2"x4"의 규격
    재가 16"간격 으로 설치되고 스터드 사이에 단열재를 채우는
    방법이다.


 

 발룬 구조와 비교하여 플랫폼 구조의장점은 다음과 같이 3가지를 들 수 있다. 

 1) 구조 부재의 길이가 짧아지고 가벼워져 작업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2) 평탄한 플랫폼 위에서 조립되는 벽체는 정확하게 직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세워지기 전에 합판이나 대각선 가새를
     설치하여 벽체 프레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3) 플랫폼으로 구성된 바닥골조는 하층부와 상층부의 벽체 구조 사이에서 방화막으로 기능하다는 점이다. 이렇듯
     플랫폼이 구성하는 방화막은 발룬 구조에서 추가적으로 소요되었던 방화용 깔판의 설치를 위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한다.

 

2.패널 공법 방식(Core Panel House)
   현장에서의 인력을 최소화하고 공장에서 대량 생산에 의한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얻기 위해 개발 된 방법이다.
   기둥-보 구조는 가장 오래된 목구조 방식 중하나로 장점은   큰 단면의 부재 사용
   으로 지간 사이를 버틸 수 있어서 자재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목재를 노출하여 목재의 질감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고 기둥 사이에는
   비내력벽이므로 대규모의 개구부나 외부로의 조망을 위한 대형창을 만들 수 있다.

   단점은 배관, 배선 등 설비 라인이 노출되는 경우가 생기고 수직 설비를 위한
   샤프트(Shaft)가 요구된다.
   또한 이 구조는 부재의 연결 부위의 설계와 시공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하중의 전달이 결합 부위로 전달되므로 이곳의 세부 사항에 대한 구조적 계산이
   필요하다.

목조주택 시방서
    목 공 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건축물 내부 전반의 목공사에 사용되는 목재의 재질, 등급, 마감상태, 품질과 공사의 일반적 사항에
        대하여 규정한다.

    1.2 제출물

    1.2.1 자재 제품 자료
    다음 품목에 대한 제조 업자의 제품 자료
    가. 목재
         목재의 재종, 함수율, 품질등급, 모양 및 치수등에 관한 사항과 품질 증명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나. 합판
         합판의 수종, 접착형식, 품질등급, 모양 및 치수등에 관한 사항과 품질 증명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 모든 목재 자재 반입시 감리자에게 검수를 받은후 현장에 반입해야 한다.

    1.3 운반. 보관 및 취급
    가. 각재, 합판등 목공사에 사용되는 목재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반입 하여야 하며, 현장에 반입 되었을 경우
         송장/ 납품서 확인 및 수량, 치수 검사 후 반입한다.
    나. 우천시 비에 맞지 않도록 보관하며 비에 젖었을 경우 2~3일간 밀폐되지 않은 공간에서 건조시키며 2회이상 비에
         노출 시킨 자재는 폐기 처리한다.
    다. 자재 보관 상태 기준
         1) OSB 합판 기준 4x8 : 바닥에 나무 3개 받칠 것 OSB 합판 기준 3x6 : 바닥에 나무 3개 받칠 것
         2) 나무길이 12’ 미만 : 바닥에 나무 3개 받칠 것 나무길이 12’ 이상 : 바닥에 나무 4개 받칠 것
         3) 제재는 견고하게 적제되어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 되어서는 안 된다.
         4) 제재가 수일이나 일주일 내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 지면에서 15cm이상 떨어지도록 받침목 위에 보관한다.
         5) 제재는 방수지나 캔바스, 폴리 에틸렌필름으로 덮어 물에 젖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통풍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덮는 재료가 지면까지 내려오지 않게 해야 한다.
         6) 덮는 재료를 꽉 막아 놓으면 목재의 함수율에 영향을 미치며 제재를 보관 할 지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미리
             깔아서 함수율 증가율을 막는다.
         7) 창틀과 걸레받이는 현장 도착후 바로 설치하며 바로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수직으로 세워 건조한 곳에 포장하여
             보관 한다.
         8) OSB 합판은 위에 2x4 목재를 모서리에 올려 놓아서 보관한다.
         9) 자재 반입후 목재 현장 기후 적응을 위해 48시간 후에 사용을 한다.

    2. 자재

    2..1 구조재
    2.1.1 규격재
    규격재는 공칭 치수로 두께 2”~4”에 폭 2”이상인 목재를 의미하며 표면에 찍힌 등급인은 제조업체, 수종, 함수율 등급을
    알 수 있으며 등급은 목재의 휨 강도 및 강성 등 구조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규격재의 장점은 함수율 19%미만으로 건조된 건조목으로 변형율이 낮으며, 등급인이 날인된 목재는 설계허용 응력도에
    따라 구조적 성능을 보증한다.

품 명
규 격
등급 / 수종
용 도
2” x 4”
(38x89mm)
8’ ~ 20’
No2 & BTR
S-DRY(함수율19%미만)
S4S
SPF / HEM FIR
STUD
목구조
STUD
INTERIOR
2” x 6”
(38x140mm)
8’ ~ 20’
No2 & BTR
S-DRY(함수율19%미만)
S4S
SPF / HEM FIR
목구조
STUD
EXTERIOR
2” x 8”
(38x184mm)
10’ ~ 20’
No2 & BTR
S-DRY(함수율19%미만)
S4S
SPF / HEM FIR
목구조
STUD
EXTERIOR
2” x10”
(38x235mm)
10’ ~ 20’
No2 & BTR
S-DRY(함수율19%미만)
S4S
SPF / HEM FIR
장선/서까래
JOIST
STAIR
2” x 12”
(38x285mm)
10’ ~ 20’

    2.1.2 구조용 판재
    OSB는 나무 입자를 페놀수지로 압착하여 판넬의 장소와 안전성을 극대화 시키고 수축과 팽창을 최소화 하였으며, 공인
    마크된 등급과 용도에 따라 사용할 경우 보증 받을 수 있다.

두 께
규 격
등급 / 수종
용 도
7/16”
(11.1mm)
4’ x 8’
(1219x2438mm)
CDX 급이상(단표에의한등급)
APA/RATED
EXPOSURE1
EXPOSURE2
INTERIOR
WALL
5/8”
(15.5mm)
4’ x 8’
(1219x2438mm)
WALL
23/32”
(18.3mm)
4’ x 8’
(1219x2438mm)
FLOOR(T&G)
C등급이상(단표에의한등급)
EXTERIOR
외부 노출형

    2.1.3 방부목
    목재는 과도한 습기에 노출되면 부패하게 된다. 화학적 방부제를 사용하여 가압 방부 처리하여 부패, 부식을 차단한
    목재를 방부목 이라 하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용성 방부제가 CCA이며, 크롬, 동, 비산염 처리를 하였다.
    방부목은 습기에 노출된 곳에 사용하며 부패와 부식을 막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품 명
규 격
등급 / 수종
용 도
1”x4”x6”
(18x38~89mm)
12’~

HEM FIR
LP-2 (흙과15CM이상)
LP-22 (흙과 접하는부분)
FDN (땅속에 묻히는곳)

Fence, Trim
2”x2”
(38x38mm)
Fence. Balustar
2”x4”
(38x89mm)
12’~20’
Sill Plate
Deck. Trim
2”x6”
(38x140mm)
Sill Plate
Deck
2”x8”
(38x184mm)
Deck Joist
Fascia
2”x10”
(38x235mm)
Deck Beam
Fascia
2”x12”
(38x285mm)
Deck Beam
Post
4”x4”
(64x89mm)
Deck Post
6”x6”
(140x140mm)
16’
Deck Post

    2.1.4 I-Joist
    플랜지 부재와 중앙부 웨이브 부재로 구성되고 I형 단면을 갖도록 제조된 구조용 목질 재료이다.
    20’ 이상의 긴 부재로 사용하며, 2층 하중을 지지하는 곳에 사용한다.

규 격
등급
용 도
2-1/2 x 11-7/8 x 14 ~ 38’

APA인증
(인증이 안될 경우성적서 제출)

2층 바닥 장선
1-1/2 x 11-7/8 x 14 ~ 38’

    2.1.5 GLULAM
    접착제를 사용하여 작은 규격 목재를 나무결이 평행하게 여러 겹으로 접착하여 만든 것이다.
    규격 목재의 끝을 서로 접합하여 길게 늘릴 수 있고 넓은 내부공간에 사용한다.

품 명
규 격
등급 / 수종
용 도
4” x 10”
(89x235mm)
16’ ~ 38’

APA / S4S
KILN DRIED
(함수율 19%미만)

HEADER
6” x 12”
(140x285mm)
노출형

    2.1.6 사이딩
    목재 사이딩은 고운면 보다는 거친면이 수명이 길으나 외관상 고운면을 사용하되 거친면을 사용할 경우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시공한다.
    옹이가 있는 경우 수액이 베어나와 얼룩을 만들거나 사이딩 자체에 변형을 주는 경우가 있으므로 세대별 옹이 개수를
    10개 미만으로 제한한다.

    2.2 내장재

    2.2.1 단열재 (INSULATION)
    단열재는 주택의 난방 및 냉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이다.
    단열재는 목 구조물의 벽이나 천장, 바닥에 설치하여 열유동 속도를 줄인다.
    수입 단열재는 열전달 저항성이 큰 유리 섬유로 된 제품으로 방습지가 부착된 것을 사용한다.

품 명
규 격
BAG당 평
용 도
비 고
R-11
3-1/2”x15”x93”
155ft²(4.3평)
내 벽
방습지 부착
R-19
6-1/4”x15”x93"
77.5ft²(2.2평)
외 벽
R30C
8-1/2”x15”x48”
50ft²(1.4평)
Roof 용
R-30
10”X24”x48”
80ft²(2.2평)
Roof 용
SILL SEALER
5-1/2”x250’
토대(합성수지)
기초수평
부식방지

    2.2.2 석고보드
    벽 마감용 판넬로 석고에 목재 섬유질을 혼합하여 석고판으로 공급되며 앞쪽은 질기고 표면이 매끈한 종이와 뒤쪽은
    앞쪽보다 질이 떨어지는 종이로 부착되어 있다.

품 명
규 격
등급/수종
용 도
비 고
일반보드(12.5mm)
4’ x 8’
일반석고보드
천장
벽체
KS급이상
방수보드(12.5mm)
방습석고보드
다용도실
수입표면종이
방화보드(15.9mm)
내화석고보드
천장
 
Corner Bead
8’ / 10’
Steel W/Paper
Corner 마감재

기초수평
부식방지

Archcorner Bead
8’
Steel Plastic
Compound
181 bs/bag
종이 tape
접합부 접착용
KS급이상

    2.3 철물
    철물은 형상 및 치수가 정확하고 떨어짐, 찢김, 들뜬녹이 없어야 하며, 사용용도에 가장 적합한 형과 크기의 것을
    사용한다.

품 명
규 격
비 고
FOUNDATION ANCHOR
10”
기초콘크리트 타설용 앵커
COLUMN BASE
7-5/8”
4”x4”Base와 기둥보용
POST BEAM CAP
2-7/8”
4”x4” Base와 연결용
2”X4” JOIST HANGER
3”
2”x4” Beam연결용 행거
2”X6” JOIST HANGER
4”
2”x6” Beam연결용 행거
2”X8/10” JOIST HANGER
7”
2”x8/10” Beam연결용 행거
2”X6” SLOPE JOIST
5-1/2”
2”x6/8”지붕장선용 조이스트 행거
2”X10” SLOPE JOIST
7-7/8”
2”x10”지붕장선용 조이스트 행거
T-POST STRAP
6”
T-자형 연결 취부용
L-POST STRAP
6”
L-자형 연결 취부용
STRAPPING ROOL
1-1/4 x 200’
Bracing(버팀용)
RAFTER HURICANE TIE
5-1/8”
서까래 체결용
HOLE MANDING PLATE
7”
연결보강용 Plate
STAKF PACKET
2” x 4”
2”x4”용 Deck/Fence 버팀용
FENCE BRAKET
2” x 4”
2”x4”용 지지 Braket
FENCE RAIL BRAKET
2” x 4”
2”x4” 레일 취부용
POST CAP
4” x 4”
4”x4” Post GAP(Gray)
DECK POST TIE
4” x 4”
4”x4” Post지지용 Braket
STAIR ANGLE(9”)
2” x 10”
2”x10” 계단재용
STAIR ANGLE(10”)
2” x 12”
2”x12” 계단재용
DECK CLIP
Deck Board 사이 띄우기
CYPSUMBOARD CLIP
Drywall 취부용 Cup
OSB CLIP
7/16”
OSB 11.1mm 사이 뛰우기
INSULATION SUPPORT(16”)
15-1/2”
40cm 간격용 Support
INSULATION SUPPORT(24”)
23-1/2”
60cm 간격용 Support
PROTECTION PLATE
전선 보호대

    3. 시공

    
3.1 시공일반 조건
    목공사에 사용되는 부재는 정확하게 절단 가공하여 수직, 수평을 맞추어 이음 및 맞춤 부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목재의 이음위치는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하고, 이음 간격이 적절하게 되지 않는 지나치게 짧은 길이의
    목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3.2 머드실
    가. 토대 작업은 방부목으로 시공을 원칙으로 한다.
    나. 콘크리트 및 몰탈에 방부목이 접하는 부분은 실실러를 사용한다.
    다. 볼트는 기초에 8”이상 삽입되어야 하며 기초위에 노출되는 길이는 최소한 토대의 두께에 너트와 와셔의 두께를 더한
         값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볼트의 간격은 8’이하가 되어야 하며 토대 하나에 2개 이상의 볼트가 사용되야 하며 토대의 양 끝면에 6” 이내에
         볼트가 위치하여야 한다.
    라. 토대를 2개 이상으로 앵커 볼트로 고정 시킨다.
    마. 내부에 있는 벽체라도 내력벽/전단벽일 경우 앵커볼트로 고정 시킨다.
    바. 방부목의 과도한 절단은 그 표면에 방부 처리 효과가 악화 되므로 재 방부 처리한다.

    3.3 샛기둥 (STUD)
    가. 벽의 샛기둥은 외벽일 경우 2”x6”, 내벽일 경우 2”x4”원칙으로 하며 16”간격으로 배치 한다.
    나. 옹이는 유형에 관계없이 옹이간의 간격이 양호 할 때 허용한다. 중앙에 위치한 이는 폭이 100~140mm 까지인 경우
         최고 60mm 까지 허용하고, 모서리 옹이는 60mm까지 허용한다. 구멍은 100mm폭에서 35mm 까지, 그이상은
         60mm까지로 스터드 한 개당 3개 이하로 제한한다.
    다. 옹이 외에 패인 부분은 폭 50mm이하, 길이 200mm이하로 제한한다.

    3.4 헤더
    헤더는 개구부에 의하여 스터드가 끊어짐으로써 상부의 수직하중 전달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보강하여 주는 부재로서
    수평보와 같은 개념으로 시공한다.
    가. 헤더의 설계는 헤더의 지간거리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며 지간 거리표 이상의 개구부는 집성재 헤더를 사용한다.
    나. 옆기둥 설치시 지간 거리표(#표1)를 근거로 이루어지며 집성재 헤더를 사용할 경우 감리자 검토후 옆기둥 개수를
         선정한다.

    3.5 모서리
    주택은 외기로부터 내부의 사람과 재산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일정한 공간을 외기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도록 건축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정 공간의 사면을 둘러싸야 하며 이 때에 한 방향으로 배치된 벽이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벽과 만나는 부위에서 모서리가 형성된다.
    가. 모서리의 스터드는 곧은 부재를 사용한다.
    나. 모서리 부분은 단열재가 취부 될 수 있도록 시공하거나 스터드로 틈을 막아야 한다.

    3.6 I-JOIST
    가. 2층 바닥 장선으로 I-Joist 끝부분에는 수직하중을 고려해서 샛기둥과 일치하게 설치하며 2’간격으로 갈 경우는
         2/3이상이 일치하게 시공한다.
    나. I-Joist 상부에 벽체가 있을 경우 2개를 겹쳐서 설치하고 겹쳤을 때 생기는 내부에는 합판을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다. I-Joist와 벽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I-Joist사이에 보막이를 설치 한다.
    라. 화장실에 욕조가 생길 경우 욕조 밑에 이중 바닥 장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마. I-JOIST는 APA인증이 된 제품을 사용하며, 인증이 되지 않은 제품은 시험 성적서와 지간 거리표를 제출하여야 하며,
         APA인증 제품은 지간 거리표(#표2.)를 참조하여 공사한다.

    3.7 천장구조
    가. 천장장선의 지간거리는 지간 거리표를 이용하여 확인 한다.
    나. 장선의 간격은 24”가 적용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부재의 치수와 등급. 부재의 간격 등 천장 마감재료 및 지붕 밑
         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 외벽의 샛기둥 위에 일직선으로 서까래가 배열되고 천장 장선은 서까래 옆에 부착한다. 따라서 천장 장선과 서까래는
         이중깔도리 위에서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한다.
    라. 외벽의 간격과 일치 하지 않을 경우 장선을 샛기둥의 2/3이상 일치 시킨다.
    마. 장선을 이어서 쓸 경우 서로 겹쳐서 못질을 하거나, 이음재를 설치하여 고정 시키며 아래에 벽체가 있는 곳에서
         시공한다.
    바. 지붕 서까래 및 지붕 실링은 지간거리표(#표4~9.)를 참조하여 시공한다.

    3.8 외부 OSB합판
    벽 덮개는 벽 구조에 강성 및 강도의 증가 그리고 약간의 단열성 증가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가. 벽 덮개용 재료는 OSB를 사용한다.
    나. OSB는 강축 방향을 눕혀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세워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 한다.
    다. 두께는 최소한 3/8” 이상이 되어야 한다.
    라. 두께 1/2”이하의 벽 덮개는 6D못을 측면에서 6”이하의 간격으로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마. 판재의 측면 및 끝면에 1/8”의 틈을 두어야 한다.

    3.9 방습지 (Tyvek)
    외벽 마감재가 설치되기 전에 방습지를 벽에 부착한다. 방습지는 외부로부터 물과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지만 벽체
    내부에서 벽체 외부로 수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 방습지의 설치는 건물의 모서리에서 12”지난 지점에서 시작한다.
    나. 방습지 두루마리를 수직으로 잡고 방습지 표면의 샛기둥 표가 샛기둥과 평행이 되도록 풀어서 설치한다.
    다. 방습지의 이음부분은 반드시 겹치도록 시공하고 외기의 물과 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이음매 부착 테이프로 밀봉
         해야 한다.
    라. 개구부는 방습지가 내부까지 감아서 고정 시킨다.
    마. 처마에 빗물받이가 설치될 경우 방습지를 빗물받이 윗부분까지 덮어지도록 한다.
    바. 방습지는 지붕하단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하고 윗단 설치시는 아래단이 15cm 겹쳐지게 덮는다.

    3.10 바닥덮개
    바닥의 마감 작업을 위한 받침의 기능과 동시에 그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대의 역할을 수행 한다.
    가. 바닥 합판은 강축방향(판재의 긴 방향)을 I-Joist와 수직하게 배열 한다.
    나. 습도조건의 변화에 따라 판재의 긴 측면을 따라서 인접한 판재와의 사이에 1/8”의 틈을 두고 짧은 측면 쪽에는 1/16”의
         틈을 준다.
    다. 첫 열의 판재는 1장을 사용하고 다음 열은 1/2장을 사용하여 시작함으로써 각 열 사이에 판재의 측면이 엇갈리게
         배치하여 수평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 시킨다.
    라. 장선과 덮개와의 사이에 내수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못 들림과 삐그덕 소리를 방지한다.

    3.11 단열재
    외벽은 R-19, 내벽은 R-11, 지붕구조는 R-30 그리고 2층 바닥은 R-19/R-30단열재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가. 단열재를 취부 할 수 없는 곳 (모서리/T자형 샛기둥) 은 샛기둥으로 보강한다.
    나. 단열재 취부시 외벽에는 방습지가 내부 방향으로 보이도록 설치한다.
    다. 단열재 취부시 타가로 단열재를 고정 시키며 구겨짐이 없도록 취부하며, 비규격에 취부 할 경우 타카로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절단하여 취부한다.
    라. 지붕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곳에는 Rafter에는 단열재 취부를 하지 않아도 되며, 지붕 장선에 단열재 취부를 한다.
         단, 게이블 Wall에는 R-30을 취부한다.
    마. 하이 실링일 경우 Rafter 사이에 누름판을 설치하여 용마루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며 평 실링일 경우는 처마
         환기구에서 단열재로 인해 공기 유입이 막힐 경우 누름판을 설치하여 원활한 공기 순환이 되도록 시공한다.

    3.12 석고보드
    벽체 및 천장의 실내 마감 재료로 사용한다.
    가. 나사를 박은 위치가 석고보드 주변보다 더 들어가도록 시공한다.
    나. 나사 부분과 이음 부분은 컴파운드를 발라서 평평하게 처리 한다.
    다. 내부 모서리는 테잎처리를 하여도 되나 외부 모서리는 금속 코너비드를 이용 한다.
    라. 골조 부재의 함수율 변화로 못이 삐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못을 사용하며 길이는 3.2cm이여야 한다.

    3.13 천공

    3.13.1 장선
    

    3.13.2 I-Joist
    APA승인 제품은 #표3.에 의거 천공을 하여야 하며, APA의 승인이 없는 제품은 시험 성적서와 천공을 위한 기준표를
    제출하여야 한다.
   

    3.13.3 샛기둥
    가. 내력벽에 사용된 샛기둥에 샛기둥 폭의 1/3이상의 홈이나 구멍이 설치 되었을 경우에는 38mm두께의 목재를
         샛기둥에 못으로 고정하여 샛기둥을 보강한다.
         이때 보강재는 홈이나 구멍에서 600mm까지 즉 최소 1200mm의 길이로 설치해야한다. 비내력 벽에서 남아있는
         목재의 폭이 40mm이하일 경우에도 위와 같이 보강해야 한다.
    나. 마감으로 인해 목재로 보강을 할 수 없을 경우 양측면에 두께 1/8”, 나비 1-1/2” 이상의 강철띠쇠로 보강한다.

    3.13.4 위 깔도리
    가. 내력벽에서 위깔도리에 홈이나 구멍이 설치되는 경우에 남아있는 깔도리의 폭이 50mm이하인 경우에도 38mm
         두께의 부재를 이용한다.
    나. 요구되는 보강재가 샛기둥이나 깔도리의 옆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마감 처리를 쉽게 해주기 위하여 얇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보강한다.

    3.15 계단
    가. 계단 너비가 0.9mm이하인 경우 계단의 각 측면에 1개의 옆판을 사용하고 나비가 그 이상일 경우 중간에 옆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나. 옆판은 2”x12”부재를 사용하며, 옆판의 아래면과 디딤판 뒷면간의 거리를 최소89mm를 두고 설치 한다.

    3.16 못박기
    대부분의 부재사이에 접합이 못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못의 종류와 사용법 그리고 각 부위 별로 사용하는 못의
    종류와 개수를 아래표에 의거 시공하여야 한다.

결합부
못박기 기준
못박기 방법
못치수와개수
장선에서 토대 또는 큰보
경사못치기
65mm못 3개
보막이에서 장선, 각 끝면
경사못치기
65mm못 2개
밑깔도리에서 장선 또는 보막이
밑깔도리에서 장선 또는 보막이
수직못박기 수직못박기
중심간격 400mm로 90mm못
중심간격 400mm로 90mm못
위깔도리에서 스터드
끝면못박기
90mm못 2개
2중스터드
경사못박기 경사못박기
65mm못 4개, 90mm못 2개
2중 위깔도리
수직못박기
중심간격 600mm고 90mm못
위깔도리, 겹치거나 교차부
수직못박기
90mm못 2개
연속 윗막이보, 2개
중심간격 400mm로
각 모서리를 따라 90mm못
천장 장선에서 위깔도리
경사못박기
65mm못 3개
연속 윗막이보에서 스터드
경사못박기
65mm못 4개
평보, 간막이벽 위에 겹치는 곳
수직못박기
90mm못 3개
평보에서 평행 서까래
수직못박기
90mm못 3개
서까래에서 위깔도리
경사못박기
65mm못 3개
조립 모서리 스터드
 
중심간격 600mm로 90mm못
조립 큰보와 보
 
상하단에서 중심간격 800mm로
100mm못, 끝면과 각 연결부에서
100mm못 2개
두께 38mm널판
 
각 지지부위에서 90mm못 2개
바닥 밑판, 지붕과 벽덮게에서
골조:
두께 12mm이하
두께 15~25mm
 


50mm못(방청못)
65mm못(방청못)
구조재 판재 외벽널에서 골조:
두께 12mm 이하
두께 15mm 이하

50mm못(방청못)
65mm못(방청못)

 

전원주택 > 목조주택





목조 주택의 시공 방법은 2x4공법(경량목조주택)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방염, 방재, 방충처리를 통해 목재의 단점을 보완한 두께 2인치 너비 4인치 규격의 각재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그 사이사이에 단열재를 넣어 내부와 외부를 마감하는 방법이다.
샌드위치패널 공법은 2x4 경골구조와 외관은 같지만 가운데 스치로폼을 끼운 합판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패널과 패널이 접합하는 부분에만 2x4 자재를 사용한다. 우리나라의 목조주택은 대부분 2x4 공법을 사용하며 일부가 샌드위치 패널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온돌방식은 보일러 파이프를 깔고 시멘트로 마감하는 습식공법과 시멘트를 쓰지 않는 대신 파이프 사이에 각재를 사용하여 공기층을 만드는 건식공법이 있다.
습식방법도 우리나라에 정착되는 단계이지만 건식방법을 쓰는 것이 더 안전하다.



원자재 선택은 가급적 미리 사용할 목재에 대해 충분한 예비지식을 갖춘 뒤 목재의 가공상태와종류, 원산지등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특히, 핵심자재인 나무와 창틀,문짝등의 주요 마감재는 대개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등에서 수입하고 있다.나무는 함수율에 따라 뒤틀림 현상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함수율이 20%가 넘어서는 안된다.


외장재는 습도, 온도 등에 따라 쉽게 변형되거나 색깔이 바뀌지 않는 동시에 불에 강하고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다.외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주로 원목 사이딩, 비닐 사이딩, 통나무 패널 등이며 내장재로는 원목이나 합판등이 주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원목의 고급스러움과 합판의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콜크타일의 사용도 늘고 있다.특히 목조주택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사계절의 변화가 심한 우리나라에서는건조가 잘된 목재를 선택하는등 자재선택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목조주택의 관리 요령으로는 우선 주택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완공후 3~5년마다 외장재에오일스테인등으로 페인팅을 해 주어야 한다. 또한 1년에 한번쯤 물받이 통의 수로(물흐름)를 확보하기 위해 홈통속의 나뭇잎등 각종 오물을 제거, 청소 하여야 나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장마철이나 겨울철이 지난후에는 누수되는 곳이 있는가를 점검하는 것도 중요한주택관리 요령이다.



'전원주택 & 생활의 지혜 > 목조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월드서 시공한 목조주택  (0) 2006.09.27
시공단가 비교  (0) 2006.09.27
목조건축  (0) 2006.09.26
목조 주택 시공사례 1  (0) 2006.09.22